노름1 행렬 - 역행렬, determinant, norm 정방행렬 n X n 꼴의 정사각형 모양 행렬 단위행렬(E or I)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의 대각선 성분이 1이고, 나머지 성분이 모두 0인 정방행렬 역행렬(inverse matrix)이란, 어떤 정방행렬(A)에 곱하였을 때 그 결과가 단위행렬이 되는 행렬을 의미한다. 어떤 수 a에 그 역수 1/a를 곱하여 1이 되는 개념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쉽다. 행렬 A의 역행렬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. 역행렬에 관한 어렵지 않은 몇몇 개념들이 있다. 1) 어떤 행렬에 대해 그 역행렬은 단 하나뿐이다(유일하다) 2) 행렬과 역행렬의 곱은 순서를 바꿔도 성립한다. 행렬식(determinant)은 정방행렬에 대한 계산식으로, 행렬식의 값이 0일 경우 그 행렬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. 다음과 같은 행.. 2022. 4. 13. 이전 1 다음 728x90